주로 로컬 변경 사항을 무시하고 원격 저장소에 강제로 적용해야 할 때 사용됩니다. 이것은 로컬 변경 사항을 커밋하고,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에 강제로 푸시합니다. 이렇게 하면 저장소의 이력을 재설정하거나 다른 협업자와의 충돌을 해결할 때 유용합니다. 주의가 필요하며, 주요 이유로는 코드 롤백, 저장소 정리, 브랜치 재설정 등이 있습니다.

◎ 폴더 Git 환경설정 하기 |
▼ 소스를 업데이트할 폴더로 이동해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합니다. 그리고 Git Bash Here 메뉴를 선택합니다. 명령을 입력할 콘솔창을 띄울 것입니다.

▼ Git Bash Here 창이 실행되었다면 콘솔창에 “git init” 이라고 입력합니다. 이것은 Git 저장소를 초기화 하는 명령어입니다. Github 에 파일을 올리기 전에 해당 디렉토리를 Git 내에 저장소로 만들고 버전 관리를 시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작업입니다.

▼ 다음은 로컬 저장소와 원격 Github 에 있는 저장소를 연결할 주소가 필요합니다. Github 에 만든 자신의 저장소 주소를 복사합니다.

▼ 명령어는 “git remote add origin [원격저장소 주소]” 입니다. 해당 명령어를 통해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를 연결합니다. 이렇게 설정해야 파일을 Push 하거나 Pull 할 수 있습니다. 복사한 주소를 원격 branch 정보로 추가합니다. 원격 branch 이름은 origin 입니다. 주소를 기억하고 입력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별칭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.

◎ 업데이트 할 파일 스테이징 추가하기 |
▼ 설정이 끝났습니다. 이제 모든 파일을 자신의 Github 주소로 올려 보겠습니다. “git add 콤마” 명령어를 사용해 스테이징 영역에 변경한 파일을 추가합니다.
$ git add .

▼ 다음은 스테이징에 추가한 파일을 Git 저장소 히스토리에 추가하기 위한 명령어를 실행합니다. “사용자 주석” 은 현재 올리는 파일의 성격을 적은 텍스트입니다. 매번 귀찮겠지만 작업 내용을 정확하게 요약해서 입력하는 버릇을 들이시기 바랍니다.
$ git commit –m ‘[사용자 주석]’

◎ github 에 값을 올리기 위한 push 명령어 |
▼ 이제 로컬 저장소에 추가한 파일을 원격 저장소인 github 로 올려보겠습니다. 명령어는 push 입니다. push 명령을 사용하기 전에 github branch 명을 확인합니다. 원격 저장소 branch 명에 업데이트 하고 싶다면 Local branch 의 이름을 맞춰야 합니다. 이름이 다른 경우 새로운 branch 명으로 올라갑니다. 물론 옵션 -m 을 이용해서 원하는 브렌치 명을 지정해서 올릴 수도 있습니다.

▼ branch 명을 동일하게 바꿔서 올려 보겠습니다. Branch 이름을 아래 명령어를 이용해서 master -> main 으로 변경합니다.
$ git branch # 현재 branch 명 확인하기
$ git branch –m main # 원하는 branch 명으로 변경하기

▼ Push 명령을 이용해서 Remote 저장소인 origin 에 main branch 이름으로 전송합니다. –f 옵션은 강제 업데이트 입니다.

▼ Github 의 branch 에 업데이트 된 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'유용한 유틸리티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노트패드++ 세로 편집, 세로 붙여넣기 사용하는 방법 (0) | 2023.10.08 |
---|---|
ipTIME(아이피타임) 무선랜 와이파이 설정하는 방법 (17) | 2023.10.05 |
가상머신 Virtual Machine 의 종류와 장단점 (2) | 2023.09.24 |
PDF 여백 없애고 인쇄하는 방법, Adobe Acrobat Reader 사용 (0) | 2023.09.17 |
와이파이 비번 알아거나 변경하기, ipTime 포함 (0) | 2023.09.12 |
버추얼박스(VirtualBox) 단축키 추가, 수정하는 방법 (0) | 2023.09.09 |
ipTIME 공유기 재부팅, 재시작 설정하는 방법 (3) | 2023.08.27 |
압축해제 프로그램 7zip 다운로드 및 사용 방법, 기본 프로그램 등록 (0) | 2023.01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