OneDrive 는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서버 입니다. 원드라이브에서 설정한 폴더는 컴퓨터에 변화가 있을 때 실시간으로 서버와 싱크를 맞춥니다.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돌아가기 때문에 자원을 어느 정도 잡아 먹고 있습니다. 만약 OneDrive 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성능을 높이기 위해 지우는 것이 좋습니다.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 원드라이버가 보이지 않게 비활성화 하거나 깔끔하게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.
¤ 원드라이버 연결 끊기 |
▼ 먼저 OneDrive 를 비활성화 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이 방법은 로그인 상태에서 연결을 끊는 것입니다. 아래 그림처럼 탐색기를 열어 OneDrive 를 선택해 보세요. 오른쪽 폴더 아이콘에 녹색 체크가 되어 있을 겁니다. 이것은 해당 폴더가 연결이 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.
▼ 연결을 끊기 위해 작업 표시줄 오른쪽 하단에 있는 알림 영역을 클릭해서 아이콘 목록을 엽니다. 아이콘 중에 OneDrive 를 선택합니다. 그리고 오른 마우스를 눌러 속정 정보창을 엽니다.
※ 아래는 참고하면 좋을 만한 글들의 링크를
모아둔 것입니다. ※ ▶ 윈도우10
탐색기 기본 화면 전환하기,
즐겨찾기 내PC
바꾸기 ▶ 윈도우10
탐색기 최근 사용한 파일 목록 즐겨 찾기 추가하기 ▼ 다음은 Windows 10 Pro 에서만 가능한 설정입니다. 왜냐하면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는 Home 에는 지원하지 않기 때문입니다. Windows 10 Pro 에서 검색창에 gpedit.msc 를 눌러 주시면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를 띄울 수 있는 스크립트가 뜹니다. ▼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창에서 컴퓨터 구성 > 관리 템플릿 > Windows 구성요소 > OneDrive 메뉴를 선택합니다. 그럼 오른쪽에 [OneDirve 를 파일 저장소로 사용 방지] 항목이 보일 겁니다. 해당 항목을 클릭해서 팝업창을 띄웁니다. ▼ [OneDrive 를 파일 저장소로 사용 방지] 팝업창에서 옵션을 [사용]으로 선택합니다. 도움말에도 나와 있듯이 OneDrive 를 이용해서 동기화 작업을 하지 않겠다는 의미입니다. 이렇게 사용으로 설정하면 탐색기에 원드라이가 사라집니다. ▼ 정말 사라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탐색기를 띄웁니다. 탐색기 왼쪽 목록을 보시면 아예 원드라이버가 안보이죠. ▼ 마지막으로 원드라이브 삭제 스크립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. 이것은 명령어를 이용해서 원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것입니다. 도스 프롬프트를 띄워서 하나씩 입력하면 되겠지만 그것이 귀찮다면 아래 2줄의 명령어를 메모장에 입력하고 확장자를 cmd 로 교체해 줍니다. 그럼 도스 프롬프트에서 실행할 수 있는 스크립트가 되는 것입니다. 첫 번째 명령문은 OneDrive 프로세스를 죽이는 것입니다. taskkill /f /im OneDrive.exe ▼ 두 번째는 언인스톨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입니다. 64bit 와 32bit 의 프로그램 설치 경로가 틀리기 때문에 둘 중 하나를 선택하시면 됩니다. 32bit 일 경우 아래 경로에 OneDrive 실행파일이 있을 겁니다. 이 실행파일의 파라미터로 /uninstall 을 넘기면 됩니다. %SystemRoot%\System32\OneDriveSetup.exe /uninstall ▼ 만약 64bit 라면 아래 경로로 변경합니다. %SystemRoot%\SysWOW64\OneDriveSetup.exe /uninstall 이렇게 명령어를 메모장에 넣습니다. ▼ 텍스트를 저장할 때 txt 가 아닌 cmd 확장자로 바꿔야 합니다. 만약 txt 로 저장했다면 다시 파일명 수정에서 cmd 로 고치시면 되겠죠. ▼ 이렇게 저장한 OneDrive.cmd 스크립트를 실행하기 위해서 파일을 선택하고 오른 마우스를 누릅니다. 그리고 [관리자 권한으로 실행] 메뉴를 선택합니다. 그럼 명령 프로프트에서 실행했던 것과 동일하게 동작합니다. ※ 아래는 참고하면 좋을 만한 글들의 링크를
모아둔 것입니다. ※ ▶ 윈도우10
탐색기 기본 화면 전환하기,
즐겨찾기 내PC
바꾸기 ▶ 윈도우10
탐색기 최근 사용한 파일 목록 즐겨 찾기 추가하기
▼ OneDrive 속성 팝업창에는 연결과 관련된 정보들이 있습니다. 기본적으로 윈도우가 뜰 때 자동으로 로그인 되는 부분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. OneDrive 에 데이터를 올리지 않는 이상 자동 로그인을 해제해 주는 것이 좋겠죠. 그리고 아래로 내려가서 OneDrive 연결 끊기를 눌러 줍니다. 그럼 OneDrive 와의 동기화는 중지됩니다.
¤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로 윈드라이버 사용안하기
¤ 원드라이브 삭제하기
댓글을 달아 주세요
골든샌즈 2016.10.04 22:40 댓글주소 수정/삭제 댓글쓰기
정말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.
익명 2016.12.30 11:27 댓글주소 수정/삭제 댓글쓰기
비밀댓글입니다
고맙습니다 2017.05.23 23:39 댓글주소 수정/삭제 댓글쓰기
고맙습니다
저는 64bit인데
↓이렇게 2개 쓰면 될까요? 위에 ㅇㅇ 님이 말씀하신데로 32bit랑 반대 아닌가요???
taskkill /f /im OneDrive.exe
%SystemRoot%\System32\OneDriveSetup.exe /uninstall
네 맞습니다. 포스팅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da 2017.09.11 00:05 댓글주소 수정/삭제 댓글쓰기
좋은 정보 감사히 잘 이용했습니다.
39 2017.09.14 20:24 댓글주소 수정/삭제 댓글쓰기
감사합니다 덕분에 해결했습니다.
초코우유 2018.01.04 15:31 댓글주소 수정/삭제 댓글쓰기
감사감사합니다.
그런데 저는 원드라이브를 먼저 삭제해버려서 따라해보려 하니 ..순서가 바뀌어 안되네요.
원드라이브 삭제 후 에도 남아있는 원도탐색기의 원드라이브아이콘은 어떻게 하면 없앨 수 있을까요.
그리고 파일검색으로 원드라이브를 쳐보면 이상한 알수없는 파일들 dll .. 기타 등등 이 막 뜨는데
이것들까지 깔끔히 다 없앨 수는 없을까요?
꼭 좀 알려주세요~!! 탐색기의 원드라이브만이라도 꼭 없애고 싶어요..
실행하면 삭제된 프로그램이라는 메세지가 떠요. 아주 거슬리네요..ㅜㅜ
아오 2018.01.15 13:30 댓글주소 수정/삭제 댓글쓰기
윈도우 업데이트 하면 원드라이브 부활하네요 개극혐
ㅈㅊ 2018.07.25 09:02 댓글주소 수정/삭제 댓글쓰기
감사합니다
네 감사합니다.
참새고기 2020.11.03 15:41 댓글주소 수정/삭제 댓글쓰기
일일이 찾기 귀찮아서 윈도우키 눌르고 시작에 있는 원드라이브에 마우스 우클릭 하고 위치 열기 하니 바로가기가 나오고 바로가기를 다시 우클릭 위치 열기 해서 파일 위치 찾은 다음 ↑눌러서 온드라이브 폴더를 언럭커로 삭제. 방금 해 봐서 윈10업뎃은 안해봤지만 현재로선 컴에서 원드라이브 관련 모든 것이 완전 삭제가 된 상태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