환경: 한글 2020 |
체크 리스트 목록을 만들었다고 합시다. 여기에 체크 박스를 앞에 두고 작업 진행 여부에 따라 표시를 하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 한글에서는 체크 표시를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습니다. 크게 나누면 세 가지로 나눕니다. 이미 체크 표시가 되어 있는 특수 문자나 문자 겹치기를 문서에 추가하는 것입니다. 이것은 매번 특수문자를 바꿔야 하기 때문에 불편합니다. 두 번째 방법은 마우스 클릭으로 체크 표시를 하거나 풀 수 있는 컨트롤을 추가하는 것입니다. 이것을 한글에서는 양식 개체라고 합니다. 양식 개체를 추가하고 활용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가 걸린 포스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 세 번째는 오늘의 주제인 글 머리표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.
한글과 관련한 체크 박스 만드는 다양한 방법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.
[참고] |
마이크로소프트 MS 워드도 체크 박스를 만들어서 추가할 수 있습니다.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
[참고] |
▼ 그림처럼 글머리표가 필요한 여러 개의 항목을 샘플로 만들었습니다.
▼ 보통 글머리표는 서식 탭 > 글머리표 그룹에서 다양한 종류를 제공합니다. 목록을 선택하고 서식 탭 > 글머리표 리본 메뉴를 눌러 보세요.
▼ 글 목록 앞에 표시된 특수 문자는 일반적인 글 머리표 입니다. 목록 앞에 번호를 붙이거나 동그라미 아이콘을 글 머리표라고 합니다. 단축키는 Ctrl + Shift + Delete 키입니다. 이런 글머리표 중에 특이하게도 체크 박스가 있습니다.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에는 없습니다.
▼ 서식 탭 > 글머리표 옆에 화살표 아이콘을 눌러 보세요. 확장 화면 아래쪽에 보시면 확인용 글머리표 항목이 있습니다. 이곳에 체크 박스와 옵션 박스 두 종류가 있네요. 기존 글머리표 모양을 바꾸기 위해 체크 박스 글머리표를 선택합니다.
▼ 그림처럼 모든 항목 앞에 체크 박스가 나타났습니다. 해당 체크 박스는 마우스 클릭만으로 체크와 해제를 반복할 수 있습니다.
▼ 좀더 빠르게 찾아 적용하는 방법은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빠른 실행 메뉴를 띄우는 것입니다. 빠른 실행 메뉴 목록에서 "글머리표 및 문단 번호" 를 선택합니다.
▼ 글머리표 및 문단 번호 팝업창이 뜨면 아래로 내려가 체크 박스 모양의 글머리표를 선택합니다.
댓글을 달아 주세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