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글에서 Ctrl 과 Shift 단축키를 이용하면 이미지와 도형을 다양한 방법으로 다룰 수 있습니다. 두 키를 어떻게 조합하는지에 따라 기능이 달라집니다. 이런 단축키는 자주 쓰일 뿐만 아니라 아주 유용하므로 작업 효율을 위해 반드시 외워 두는 것이 좋습니다.
▼ 일반적으로 이미지를 다룰 때 Ctrl 과 Shift 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이미지의 끝을 마우스로 드래그하면 움직이는 방향으로 이미지가 늘거나 줄어 듭니다. 아래 그림은 오른쪽 모서리를 잡고 늘였기 때문에 오른쪽 라인과 하단에 라인이 늘어난 것이죠.
▼ 그럼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를 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? 아래 그림처럼 어디를 잡고 끌어도 동일한 비율로 4방향 모두 늘어납니다.
▼ 다음은 이미지를 복사할 때 사용합니다. Ctrl 키를 이용해서 이미지를 이동하게 되면 동일한 크기의 이미지를 복사할 수 있습니다. 마우스 포인트에 + 표시는 동일한 이미지의 복사 하겠다는 의미합니다. Ctrl 키를 누르지 않은 상태라면 위치만 이동합니다.
¤ Shift 키로 이미지 자르기 |
▼ Shift 는 이미지를 자르는데 사용합니다.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는 이미지를 더 이상 키울 수는 없습니다. 대신 라인을 이동시킬 수가 있는데, 안쪽으로 옮기면 이미지가 축소되는 것이 아니라 가려지면서 자르기가 됩니다. 4방향의 라인을 움직여서 원하는 영역의 이미지만 남길 수 있습니다.
※ 아래는 참고하면 좋을 만한 글들의 링크를 모아둔 것입니다. ※ ▶ 한컴오피스 한글 개체 묶기와 풀기, 도형 묶기 ▶ 한컴오피스 한글 개체 도형 정렬하는 방법 ▶ 한컴오피스 한글 도형 호 그리기와 회전 시켜서 깔때기 모양 만들기 ▶ 한컴오피스 한글 조직도 만드는 방법 ▶ 한컴오피스 한글 화살표 그리는 방법 |
▼ 위에서 보았듯이 Ctrl 키는 이미지를 복사하지만 Shift 키는 이미지의 이동시키기만 합니다. 아무 키도 누르지 않고 이동시키는 것과 같습니다.
¤ 도형에서 Ctrl 키로 회전, Shift 키로 직선 그리기 |
▼ 이번에는 도형을 다룰 때 Ctrl 과 Shift 키 사용법입니다. 아무 키도 누르지 않았을 때 라인을 그려서 끝을 움직이면 그림처럼 이동합니다. 마우스를 클릭해서 잡아 끄는 반대쪽 끝은 움직이지 않습니다.
▼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움직이면 중심축이 고정된 상태에서 도형이 회전합니다. 도형의 방향을 바꿀 때 Ctrl 키를 눌러서 움직여 줍니다.
▼ Shift 키는 대각선이 아닌 직선만 그릴 수 있습니다. 여러 개의 선을 그려 넣을 때 사람이 마우스로 정확한 직선 도형을 넣기가 쉽지 않죠. 그 때 Shift 키를 누르시면 간단하게 직선이 됩니다. 대각선은 그릴 수 없기 때문입니다.
※ 아래는 참고하면 좋을 만한 글들의 링크를 모아둔 것입니다. ※ ▶ 한컴오피스 한글 개체 묶기와 풀기, 도형 묶기 ▶ 한컴오피스 한글 개체 도형 정렬하는 방법 ▶ 한컴오피스 한글 도형 호 그리기와 회전 시켜서 깔때기 모양 만들기 ▶ 한컴오피스 한글 조직도 만드는 방법 ▶ 한컴오피스 한글 화살표 그리는 방법 |
댓글을 달아 주세요
난 2006년 이후로 한글은 건드려 본적없는데 한국에선 아직 한글 많이 쓰나봐요? 오피스도 점점 복잡해지고 호환성 문제는 기능이 많아질수록 더 많이 생길건데 국내 프로그램이 선전하는건 좋지만 오피스도 셋트로 팔고 한글도 한컴오피스에 들어가 있는 상황에서 내가 기업을 한다면 절대 한컴오피스에 추가 비용을 지급하지 않을것 같아요. 엑셀의 고급 기능들은 한셀은 감히 못 넘볼것 같아서 오피스는 어차피 구입해야 하는것이자나요.
그리고 진짜 궁금해서 왜 한글의 장점을 검색 해 봤는데 한글이 표와 수식이 더 편하다고 하더라고요. 개인적으로 워드를 쓰면서 단 한번도 표가 불편하다던지 한 기억이 없고 수식입력의 경우 마소도 완전히 메쓰타입(MathType)에 맡기는 상황이라 전문가용 플러그인인 MathType VS. 한글의 수식 입력기라면 한글을 잘 몰라도 게임 상대가 안될것 같은데. MathType은 얼마전 국제 규격을 채택되어 대부분의 웹브라우저에서 지원하죠.. 저도 티스토리에 올려 봤는데 안깨지더라고요.
전 프로그래머가 아니라 녹두장군님의 개인 생각이 궁금해서요. 왜 호환성 불편을 감수하고 한글을 쓰는거죠? 국내 기업중 해외기업이랑 거래 한번도 안하는 곳은 거의 없는 걸로 아는데, 그리고 PDF변환을 하면 하나당 하나의 파일 생성이 되기때문에 관리도 복잡해지고 매번 그 작업을 반복한다면 녹두장군님도 아시자나요, 컴퓨터 작업에선 마우스 클릭 한번의 차이가 얼마나 큰 차이인지, 한글이 워드 보다 확실히 압도하는 편리함이 있나요?
제가 찾아본 인터넷상의 한글의 장점은 모두 워드를 잘 모르기 때문에 말하는 것들이고 옆에 있다면 하나 하나 다 반박할수 있는 내용 뿐이더라고요. (예를 들어 단축키, 워드에서 단축키 사용자 지정이 얼마든지 돼죠. 내가 보기엔 그것도 뻘짓이지만. 또 스타일이나 매크로를 단축키로 만들수도 잇고. )
이젠 마소에서 다른 제품군, 프로젝트, 비지오등도 오피스와 통합해서 기능 확장을 하는데 과연 한글과 컴퓨터가 언제까지 버틸지 의문이 가네요
요점은 프로그래머로서 녹두장군님의 개인 의견이 궁금합니다. 두 프로그램모두 녹두 장군님만큼 이해하는 사람이 있을까요?
익명 2015.11.05 13:04 댓글주소 수정/삭제 댓글쓰기
비밀댓글입니다
김지훈 2018.05.22 18:52 댓글주소 수정/삭제 댓글쓰기
지나가던 공무원인데, 팁 감사합니다. 특히, crop기능은 맨날 찾아서 했는데 쉬프트 단축키가 있는지 몰랏네요.
네 감사합니다.